기타

캠코 공매 2025년 5월 12일, 집값 폭락 기회일까? 핵심 분석

디엔피엠 2025. 5. 9. 19:52
반응형

캠코 공매 2025년 5월 12일, 초보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

캠코 공매 2025년 5월 12일부터 3일 동안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전국의 압류 재산 2,204건을 매각합니다. 이번 공매는 부동산(아파트, 임야), 자동차, 귀금속, 특허권까지 다양한 물건이 포함되며, 개찰결과는 5월 15일(목)에 발표됩니다. 공식정보만 보면 어렵고 복잡해 보이지만, 이 글을 통해 누구나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드립니다.

 

 

온비드 입찰물건

 

공매란? 경매와 뭐가 다를까?

공매는 국가나 지자체가 세금을 못 낸 사람의 재산을 법에 따라 대신 매각하는 절차입니다. 법원이 아닌 행정기관이 주관하기 때문에 경매보다 절차가 간단한 편입니다. 입찰은 온비드 또는 스마트온비드 앱으로 할 수 있어 접근성도 좋습니다.

이번 공매의 핵심 포인트는?

  • 총 2,204건 매각: 부동산 2,066건, 동산 138건
  • 708건이 감정가의 70% 이하 → 시세보다 싸게 살 기회
  • 서울 송파 리센츠 아파트, 시흥 다가구 주택 등 고가 매물 포함
  • 임야, 공장용지, 차량, 특허권 등 투자처 다양

주요 매각예정 물건

캠코 공매 2025년 5월 12일 주요 매각예정 물건(단위:㎡, 원, %)
▲ 캠코 공매 2025년 5월 12일 주요 매각예정 물건(단위:㎡, 원, %)
캠코 압류재산 공매예정물건(5.15개찰).xls
0.48MB

공매 참여 전 필수 체크리스트

  • 권리분석: 해당 물건에 빚, 임대차 계약이 있는지 확인
  • 현장 답사: 물건의 실제 상태나 위치 확인
  • 명도 책임: 낙찰 후 입주자가 있을 경우 직접 퇴거 요청해야 함
  • 공매 취소 가능성: 세금 납부, 서류 문제 등으로 입찰 전날이라도 취소될 수 있음

입찰 절차 요약 (온비드 기준)

1단계: 온비드 회원가입 및 공인인증 등록
2단계: 공매 공고 검색 → 입찰하고 싶은 물건 선택
3단계: 보증금 납부 → 입찰 → 결과 발표(5월 15일)
자세한 절차는 캠코 공매 온비드 바로가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매 입찰 시 주의사항

  • 권리분석 철저: 공매 물건에 대한 소유권, 사용권 등 권리 관계를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미등기 부담 등 숨겨진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공부 열람,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철저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명도책임: 공매 물건에 임차인이 있는 경우 입찰 후에도 임차권을 승인해야 하는 명도책임이 발생할 수 있다. 입찰 전 임차인 존재 유무와 임차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명도책임을 감당할 수 있는지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 입찰 취소 가능성: 세금납부, 송달불능 등의 사유로 공매 직전까지 입찰이 취소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공매 일정을 주의 깊게 확인하고, 입찰 전 해당 물건의 공매 현황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입찰 전 현장 조사: 사진이나 설명만 보고 입찰하기보다는 반드시 현장 조사를 통해 물건의 실제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건물의 경우 구조적 결함, 수리 필요 부분 등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투자 목적과 재정 계획: 공매 물건을 투자 목적으로 구매할 경우 시장 상황, 수익성, 관리비용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투자 계획을 세워야 한다. 또한, 입찰뿐만 아니라 세금, 공과금 등 부가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재정 계획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
  • 캠코 압류재산 공매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주의사항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신중하게 검토하고 입찰 전 충분한 준비를 갖추는 것이 성공적인 거래를 위한 첫걸음이다.
▲ [입찰자 매뉴얼] 1-1. 회원가입-개인회원

 

한편, 캠코는 국민들의 자유로운 공매정보 활용 및 공공자산 거래 활성화를 위해 압류재산을 비롯한 공공자산 입찰정보를 온비드 홈페이지와 스마트온비드 앱을 통해 개방·공유하고 있다.

 

* 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에서 ‘스마트온비드’ 검색 후 다운로드 가능

 

※ 상기물건은 세금납부,송달불능 및 기타 사유로 인해 취소될 수 있음

※ 공매물건에 대한 권리분석 및 지적부상 하자나 행정상의 규제 또는 품질, 수량 등의 상이에 대하여 입찰자 책임하에 공부열람, 현지답사 등 확인 후 공매에 참가하여야 합니다.

※ 입찰물건목록 및 정보는 온비드( http://www.onbid.co.kr )부동산(동산)→공고→캠코압류재산참고

※ 온비드콜센터:1588-5321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의무, 6월부터 미신고 시 과태료 부과!

국토교통부는 2025년 6월 1일부터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의무를 본격적으로 시행합니다.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하는 일입니다. 만약 신고를 깜빡하면 최소 2만 원에서 최대 30만 원

dnpq.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