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4월 24일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국가안보 및 재난대응 능력 강화를 위한 이번 발사는 한국 우주 개발 역사에 새로운 한 페이지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
발사 준비 완료, 현지 기상 조건 발사 기준 적합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4월 23일(화) 초소형급 지구관측용 실용위성인 초소형군집위성 1호를 4월 24일(예비일: 4월 25일) 오전 07시 08분 57초(현지시간 오전 10시 08분 경)에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에서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 6일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에 도착한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위성 상태 점검 및 발사체 결합 등 발사를 위한 최종 점검을 완료하였고, 현재는 로켓랩(RocketLab) 社의 ‘일렉트론(Electron)’ 로켓에 탑재돼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성공적인 발사 기대 효과
1. 고빈도 한반도·주변 해역 영상 확보로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 대응 신속·정확성 향상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하루에 5회 이상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지나가면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정지궤도 위성 대비 훨씬 빠른 속도로 영상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국가 안보 및 재난·재해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북한의 군사 동향 감시, 해상 침범 감시, 산불, 홍수 등 재난 발생 시 피해 상황 파악 및 대응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 1호는 약 3년간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약 1m급 광학 영상 공급 예정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약 1m급의 광학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정찰 위성 대비 훨씬 높은 해상도의 영상이며, 이는 군사 목표 식별, 재난 피해 지역 상세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1호의 데이터는 지도 제작, 환경 모니터링, 농림업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3. 초소형 군집위성 기술 발전 및 우주 개발 역사 새로운 한 페이지 열 기대
초소형 군집위성은 경량, 저전력, 저비용 개념으로 개발된 새로운 유형의 위성이다. 이는 기존 위성 대비 제작 및 운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향후 더 많은 위성을 우주 공간에 배치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초소형 군집위성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래 우주 개발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현황
- 발사 날짜: 4월 24일(예비일: 4월 25일)
- 발사 시간: 오전 07시 08분 57초(현지시간 오전 10시 08분 경)
- 발사 장소: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
- 발사 로켓: 로켓랩(RocketLab) 社의 ‘일렉트론(Electron)’ 로켓
- 발사 후 상황: 약 50분 뒤 로켓과 최종 분리, 발사 4시간 24분 후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교신
- 영상 중계: http://www.youtube.com/@RocketLabNZ (발사 30분 전(한국시간 06:38분)부터 중계 시작)
※ 주의: 위 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발사 상황 및 결과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성공, 한반도 지구관측 새로운 시대 열다
한국의 우주 기술 혁신을 이끄는 초소형 군집위성 1호의 발사 성공과 함께, 새로운 지구 관측 시대가 열립니다. 국내 최초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성공! 2024년 11월부
dnpq.tistory.com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무요원, 현역병과 동일한 병역 의무! 귀가 여비 지급도 동일하게 (0) | 2024.04.26 |
---|---|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성공, 한반도 지구관측 새로운 시대 열다 (0) | 2024.04.25 |
KAI, ‘2024 이라크 방산전시회(IQDEX)’ 참가…KF-21·FA-50·수리온 선보여 (0) | 2024.04.22 |
방산산업, 3천억원 융자로 힘찬 도약! 방위산업 이차보전 융자사업 지원 확대 (0) | 2024.04.20 |
‘우주위성 연구분과’ 창립, 우주무기체계의 품질향상 및 정책연구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