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2024년 4분기 오피스텔 매매·전세 하락, 월세 상승 이유는?

반응형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오피스텔 시장 동향에 따르면, 매매와 전세 가격은 하락세를, 월세 가격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1~2인 가구 증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됩니다. 본 글에서는 매매, 전세, 월세 시장의 변화와 함께 수익률, 전환율, 정책적 요인까지 다각도로 분석하여 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R-ONE 부동산통계

 

오피스텔 2024년 10~12월 가격지수 및 변동률
▲ 오피스텔 2024년 10~12월 가격지수 및 변동률

매매가격동향

2024년 4분기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국적으로 0.40% 하락했습니다. 수도권은 0.28% 하락, 서울은 0.02% 상승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은 0.86% 하락하며 하락폭이 가장 컸습니다. 특히 대구(-1.83%)와 인천(-0.81%)의 하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대출 규제와 금리 부담으로 인해 실수요와 투자 수요 모두 감소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전세가격동향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0.25% 하락하며 하락폭이 다소 확대되었습니다. 수도권은 하락폭이 0.13%로 유지된 반면, 서울은 0.02% 상승하며 소폭 반등했습니다. 지방의 하락폭은 0.68%로 수도권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신축 오피스텔 공급이 지속되는 지역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전세사기 우려와 보증부 월세 선호 현상이 전세 수요를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월세가격동향

월세가격은 전국적으로 0.40% 상승하며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수도권은 0.51%, 서울은 0.35% 상승했고, 인천(0.98%)은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지방은 월세 가격이 -0.02% 하락하며 보합세를 보였습니다.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되는 수요 증가와 산업단지 인근 지역의 월세 수요가 월세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024년 4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
▲ 2024년 4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

오피스텔 수익률 분석

2024년 12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의 평균 수익률은 5.45%로 나타났습니다. 수도권은 5.35%, 지방은 5.86%를 기록하며 지역별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 세종(6.37%)과 대전(7.85%)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서울은 4.90%로 가장 낮았습니다.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지역은 임대 수요가 꾸준한 곳으로,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전월세 전환율 및 매매-전세 비율

2024년 12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의 전월세 전환율은 6.19%로 나타났습니다. 수도권(6.14%)보다 지방(6.75%)이 더 높았으며, 서울은 5.76%로 가장 낮았습니다. 또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전국 평균 84.91%로, 지방(83.43%)보다 수도권(85.29%)이 높았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투자자와 임차인 모두가 지역별 시장 상황을 이해하고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정책과 규제의 영향

최근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는 오피스텔 시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는 매매와 전세 수요를 감소시키고 월세로 전환되는 흐름을 강화했습니다. 향후 정부의 정책 변화 여부가 시장 회복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임대차법 개정 등과 같은 변화도 시장 참여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전망

오피스텔 시장은 금리와 대출 규제가 수요와 공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금리 인상과 공급 과잉으로 인해 매매와 전세 시장의 회복이 어려울 수 있지만, 금리가 안정화되고 대출 규제가 완화되면 시장 반등이 기대됩니다. 특히 1~2인 가구 증가 추세는 소형 오피스텔 수요를 꾸준히 유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피스텔 규제 폐지! 바닥난방·생숙 전환, 지금 투자 찬스

"이제 오피스텔에서도 바닥난방이 가능하다고?" 부동산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오피스텔 바닥난방 규제 폐지와 생활숙박시설의 오피스텔 전환 지

dnpq.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