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기본형건축비 3월 정기 인상! 집값 오를까? 청약 전략은?

반응형

기본형건축비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분양가를 산정할 때 사용하는 건축비의 기준입니다. 국토교통부는 매년 3월과 9월, 건설 자재비와 노무비 등의 변동을 반영하여 이를 조정합니다. 이는 주택 가격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기본형건축비 인상: 2025년 3월 정기고시 발표, 분양가 영향은? 내 집 마련 전략 확인!

2025년 3월 기본형건축비 인상 내용

2025년 3월 1일부터 기본형건축비가 1.61% 인상됩니다. 이에 따라 전용면적 60~85㎡, 16~25층 기준으로 ㎡당 210만 6천 원에서 214만 원으로 상승합니다. 이번 인상은 간접공사비와 노무비 등의 상승이 주요 원인입니다.

과거 기본형건축비 변동 추이

최근 몇 년간 기본형건축비는 다음과 같이 변동되었습니다:

  • 2023년 3월: 2.69% 인하
  • 2023년 9월: 0.53% 상승
  • 2024년 3월: 1.5% 상승
  • 2024년 9월: 1.2% 상승

이러한 변동은 건설 자재비와 노무비 등의 시장 상황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층수별, 면적별 지상층건축비(단위 : 천원/㎡)

  • 5층 이하
    • 40㎡ 이하: 2,161
    • 40㎡ 초과 ∼ 50㎡ 이하: 2,283
    • 50㎡ 초과 ∼ 60㎡ 이하: 2,205
    • 60㎡ 초과 ∼ 85㎡ 이하: 2,108
    • 85㎡ 초과 ∼ 105㎡ 이하: 2,156
    • 105㎡ 초과 ∼ 125㎡ 이하: 2,140
    • 125㎡ 초과: 2,108
  • 6∼10층 이하
    • 40㎡ 이하: 2,312
    • 40㎡ 초과 ∼ 50㎡ 이하: 2,443
    • 50㎡ 초과 ∼ 60㎡ 이하: 2,360
    • 60㎡ 초과 ∼ 85㎡ 이하: 2,256
    • 85㎡ 초과 ∼ 105㎡ 이하: 2,308
    • 105㎡ 초과 ∼ 125㎡ 이하: 2,290
    • 125㎡ 초과: 2,256
  • 11∼15층 이하
    • 40㎡ 이하: 2,169
    • 40㎡ 초과 ∼ 50㎡ 이하: 2,292
    • 50㎡ 초과 ∼ 60㎡ 이하: 2,213
    • 60㎡ 초과 ∼ 85㎡ 이하: 2,116
    • 85㎡ 초과 ∼ 105㎡ 이하: 2,165
    • 105㎡ 초과 ∼ 125㎡ 이하: 2,148
    • 125㎡ 초과: 2,116
  • 16∼25층 이하
    • 40㎡ 이하: 2,194
    • 40㎡ 초과 ∼ 50㎡ 이하: 2,318
    • 50㎡ 초과 ∼ 60㎡ 이하: 2,238
    • 60㎡ 초과 ∼ 85㎡ 이하: 2,140
    • 85㎡ 초과 ∼ 105㎡ 이하: 2,189
    • 105㎡ 초과 ∼ 125㎡ 이하: 2,172
    • 125㎡ 초과: 2,140
  • 26∼30층 이하
    • 40㎡ 이하: 2,228
    • 40㎡ 초과 ∼ 50㎡ 이하: 2,354
    • 50㎡ 초과 ∼ 60㎡ 이하: 2,274
    • 60㎡ 초과 ∼ 85㎡ 이하: 2,174
    • 85㎡ 초과 ∼ 105㎡ 이하: 2,224
    • 105㎡ 초과 ∼ 125㎡ 이하: 2,207
    • 125㎡ 초과: 2,174
  • 31∼35층 이하
    • 40㎡ 이하: 2,263
    • 40㎡ 초과 ∼ 50㎡ 이하: 2,391
    • 50㎡ 초과 ∼ 60㎡ 이하: 2,310
    • 60㎡ 초과 ∼ 85㎡ 이하: 2,208
    • 85㎡ 초과 ∼ 105㎡ 이하: 2,259
    • 105㎡ 초과 ∼ 125㎡ 이하: 2,241
    • 125㎡ 초과: 2,208
  • 36∼40층 이하
    • 40㎡ 이하: 2,299
    • 40㎡ 초과 ∼ 50㎡ 이하: 2,429
    • 50㎡ 초과 ∼ 60㎡ 이하: 2,346
    • 60㎡ 초과 ∼ 85㎡ 이하: 2,243
    • 85㎡ 초과 ∼ 105㎡ 이하: 2,295
    • 105㎡ 초과 ∼ 125㎡ 이하: 2,277
    • 125㎡ 초과: 2,243
  • 41∼45층 이하
    • 40㎡ 이하: 2,330
    • 40㎡ 초과 ∼ 50㎡ 이하: 2,462
    • 50㎡ 초과 ∼ 60㎡ 이하: 2,378
    • 60㎡ 초과 ∼ 85㎡ 이하: 2,273
    • 85㎡ 초과 ∼ 105㎡ 이하: 2,325
    • 105㎡ 초과 ∼ 125㎡ 이하: 2,307
    • 125㎡ 초과: 2,273
  • 46∼49층 이하
    • 40㎡ 이하: 2,402
    • 40㎡ 초과 ∼ 50㎡ 이하: 2,537
    • 50㎡ 초과 ∼ 60㎡ 이하: 2,451
    • 60㎡ 초과 ∼ 85㎡ 이하: 2,343
    • 85㎡ 초과 ∼ 105㎡ 이하: 2,397
    • 105㎡ 초과 ∼ 125㎡ 이하: 2,378
    • 125㎡ 초과: 2,343

이번 인상의 주택 시장에 대한 영향

기본형건축비 인상은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주택의 분양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건설업계에서는 이번 인상이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져 실수요자들의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건설 자재비와 인건비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인해 분양가 현실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문가 의견

부동산 전문가들은 기본형건축비 인상이 주택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건설사들의 수익성이 악화되면 신규 주택 공급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주택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분양가상한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기본형건축비의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가산비 항목을 조정하는 등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실수요자를 위한 조언

주택 구매를 고려하는 실수요자들은 이번 기본형건축비 인상이 분양가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특히, 청약을 준비 중인 분들은 분양가 상승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금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과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구매 시점을 판단해야 합니다.

맺음말

이번 기본형건축비 인상은 주택 시장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수요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현명한 주택 구매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부와 건설업계는 주택 공급의 안정성과 수요자의 부담 완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