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이륜차 사고자동신고시스템, 90초 만에 생명을 살리다!

반응형

최근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시범 운영된 이륜차 사고자동신고시스템이 소중한 생명을 구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이 시스템은 AIoT(사물인터넷)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사고 발생 시 즉시 소방서 및 경찰서에 신고하는 체계를 구축한 것입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농어촌 지역에서는 CCTV 사각지대에서 발생한 사고가 늦게 발견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주관한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사고 감지가 가능해졌으며, 구조까지 걸리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었습니다.

이륜차 사고, 90초 구조: AIoT 기반 자동 신고 시스템, 사고 즉시 감지·구조로 생명 보호!

이륜차 사고자동신고시스템의 핵심 기능

본 시스템은 단순한 신고 기능을 넘어, 운전자의 안전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사고 감지: 충격량 및 기울기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고 여부 판단
  • 자동 신고: 사고 발생 즉시 관할 소방서 및 경찰서로 긴급 구조 요청 전송
  • 개인 맞춤 응급 대응: 희망하는 경우 혈액형 및 지병 정보를 등록하여 보다 신속한 의료 지원 가능
  • 가족 알림 서비스: 사고 발생 후 90초 내에 보호자에게 문자 메시지 발송

이러한 기능은 사고 후 방치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응급 조치를 가능하게 합니다.

시스템 도입 전후의 사고 대응 속도 비교

이전에는 사고 발생 후 신고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구조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 도입 전: 2023년 7월, 예산군에서 발생한 한 사고의 경우, 피해자가 발견될 때까지 56분이 소요되었고, 안타깝게도 사망에 이르렀습니다.
  • 도입 후: 2023년 11월~2024년 11월 시범사업 기간 동안, 사고 발생 후 90초 내 사고가 감지되었으며, 신고까지 약 5분이 걸려 구조 시간이 91% 단축되었습니다.

즉, 본 시스템을 통해 구조 시간이 10분 이내로 단축되면서, 피해자의 생명을 보호할 가능성이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고령운전자분들의 반응 및 만족도 조사

시스템을 직접 이용하신 고령운전자 30분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 응답자의 70%가 "사고 발생 시 더 빨리 구조될 수 있을 것 같다"고 응답
  • 사고 발생 후 장시간 방치될 위험이 줄어든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
  • 보호자들 또한 신속한 구조 체계에 대해 신뢰감을 표명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시스템이 단순한 기술적 편리성을 넘어서, 운전자와 그 가족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음을 보여줍니다.

사고 발생 위치 및 구조 통계

이륜차 사고 발생 위치 및 구조 통계
▲ 이륜차 사고 발생 위치 및 구조 통계

 

위 이미지는 예산군에서 발생한 이륜차 사고 구조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 총 구조 사고: 7건
  • 사고 발생 위치: 논·밭(3건), 마을길(2건), 지방도로(2건)
  • 사고 유형: 단독 사고(6건, 경상), 차대차 사고(1건, 중상)

이를 통해, 사고가 주로 논밭과 마을길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이 단독사고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보다 효과적인 예방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향후 확대 계획 및 전망

TS는 본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 광역지자체 및 전국 단위 시스템 구축 추진
  • 이륜차 외에도 전동 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퍼스널 모빌리티(PM)에도 적용 검토
  •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맞춤형 교통안전 정책 강화

특히, 농어촌 지역에서는 사고 발생 시 구조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본 시스템의 도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맺음말

이륜차 사고자동신고시스템은 고령운전자의 안전을 지키는 혁신적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긴급 구조 시스템보다 훨씬 빠르게 사고를 감지하고 신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발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시스템을 통해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교통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라며, TS는 지속적으로 교통안전 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