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수출입현황 2024년 12월 1~20일: 반도체 강세, 흑자 비결은?

반응형

2024년 12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입 통계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기간 동안 수출은 40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으며, 수입은 390억 달러로 7.5% 증가했습니다. 무역수지는 1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는 주요 품목과 국가별 동향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출입통계보기

 

2024년 12월 1일~2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단위:백만 달러,%)
▲ 2024년 12월 1일~2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단위:백만 달러,%)

  • 조업일수[(2023)15.5일,(2024)16.0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3.12.)24.3,(2024.12.)25.2억 달러] 3.5%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5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수출 현황

수출은 반도체, 컴퓨터 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의 증가와 중국, 유럽연합 등 주요 국가와의 교역 확대에 힘입어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반도체는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며 전체 수출의 20.4%를 차지했습니다.

주요 품목 수출

  • 반도체: 8,211백만 달러 (23.4% 증가)
  • 자동차 부품: 1,244백만 달러 (8.9% 증가)
  • 컴퓨터 주변기기: 810백만 달러 (79.7% 증가)
  • 철강제품: 2,793백만 달러 (11.7% 증가)
  • 무선통신기기: 1,030백만 달러 (2.0% 증가)
  • 승용차: 3,731백만 달러 (0.2% 감소)
  • 석유제품: 2,639백만 달러 (14.6% 감소)
  • 선박: 1,862백만 달러 (24.5% 감소)
  • 정밀기기: 700백만 달러 (0.9% 감소)
  • 가전제품: 477백만 달러 (1.7% 증가)

주요 국가 수출

  • 중국: 8,061백만 달러 (12.4% 증가)
  • 미국: 8,012백만 달러 (6.0% 증가)
  • 유럽연합: 4,320백만 달러 (28.3% 증가)
  • 베트남: 3,520백만 달러 (7.6% 증가)
  • 일본: 2,026백만 달러 (9.0% 증가)
  • 대만: 1,998백만 달러 (68.4% 증가)
  • 홍콩: 1,591백만 달러 (10.0% 감소)
  • 인도: 1,151백만 달러 (4.9% 증가)
  • 싱가포르: 1,049백만 달러 (45.6% 증가)
  • 말레이시아: 533백만 달러 (14.8% 감소)

수입 현황

수입은 반도체 제조장비, 정밀기기 등의 증가와 에너지 관련 품목의 감소가 혼재된 결과를 보였습니다. 주요 국가별로는 중국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주요 품목 수입

  • 반도체: 4,852백만 달러 (27.8% 증가)
  • 반도체 제조장비: 2,038백만 달러 (67.9% 증가)
  • 원유: 4,499백만 달러 (13.6% 감소)
  • 가스: 2,252백만 달러 (13.1% 감소)
  • 석유제품: 1,632백만 달러 (22.1% 증가)
  • 철강제품: 2,793백만 달러 (11.7% 증가)
  • 석탄: 930백만 달러 (4.2% 감소)
  • 정밀기기: 1,074백만 달러 (6.1% 증가)
  • 승용차: 634백만 달러 (22.7% 감소)
  • 무선통신기기: 584백만 달러 (17.4% 증가)

주요 국가 수입

  • 중국: 8,848백만 달러 (15.0% 증가)
  • 유럽연합: 4,706백만 달러 (12.4% 증가)
  • 일본: 3,169백만 달러 (21.8% 증가)
  • 대만: 1,854백만 달러 (40.7% 증가)
  • 호주: 1,754백만 달러 (18.6% 감소)
  • 베트남: 1,710백만 달러 (19.2% 증가)
  • 사우디아라비아: 1,658백만 달러 (3.0% 감소)
  • 말레이시아: 887백만 달러 (16.2% 증가)
  • 러시아: 388백만 달러 (24.5% 감소)

향후 전망

이번 수출입 통계는 한국 경제의 회복 가능성을 시사하는 긍정적 신호로 보입니다. 특히 반도체와 컴퓨터 주변기기와 같은 첨단 기술 품목의 강세가 눈에 띕니다. 하지만 에너지 수입 감소와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향후 정부와 기업 간 협력을 통해 주요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