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

2025년 민군기술협력사업, 내 드론 기술이 국방무기로 간다?

반응형

2025년 민군기술협력사업, 군과 민간이 함께 성장하는 이유

방위사업청산업통상자원부2025년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을 통해 AI, 드론, 반도체 등 첨단기술을 군과 민간이 함께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총 1,134억 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이 사업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단순히 군대만을 위한 기술 개발일까요? 실제로는 우리의 일상, 산업, 교육까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민과 군이 기술을 주고받는 구조: Spin-On, Spin-Off, Spin-Up

민군기술협력사업의 핵심은 기술의 ‘양방향 교류’에 있습니다. 이를 쉽게 설명하면 아래 그림처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민군 기술 협력 흐름도 - Spin-On Spin-Off Spin-Up 구조
▲ 민군 기술 협력 흐름도 - Spin-On Spin-Off Spin-Up 구조

  • Spin-On: 민간 기술을 군에서 활용 (예: 택배 드론 기술 → 정찰 드론)
  • Spin-Off: 군 기술을 민간에 확산 (예: 군 레이더 기술 → 스마트 자동차 센서)
  • Spin-Up: 민과 군이 함께 처음부터 개발 (예: AI 기반 화학물질 탐지 키트)

이런 방식으로 국방과 산업 모두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키워내는 것이 이 사업의 목적입니다.

실제 사례로 보는 민군기술협력사업의 성과

이 사업이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두 가지 대표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민군 협력 성공사례 - 초고속정과 해수펌프
▲ 민군 협력 성공사례 - 초고속정과 해수펌프

  • 초고속정 개발 (2016~2021, 45억): 민간 기술을 활용한 20톤급 고속정은 육군 작전에 적용되어 신속한 해안 경계에 활용됩니다.
  • 해수펌프 제조기술 (2023~2025, 24억): 군에서 필요로 했던 고급 펌프 기술이 실용화되어 해군 정비창에 납품되었고, 민간 조선 산업에도 응용될 수 있습니다.

2025년 민군기술협력사업 주요 신규과제

아래는 올해 새롭게 포함된 주요 과제로, 민간과 군 모두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들입니다.

과제명 주요 내용 적용 분야 사업 유형
경호 특수차량용 방호소재 및 구조 경량화 경량형 장갑차 및 특수차량용 방호소재 개발 민: 경호차량 / 군: 전술차량 민군겸용기술개발
소형 무인기용 왕복 엔진 전자식 연료 분사 방식의 국산 드론 엔진 개발 민: 택배 드론 / 군: 정찰·타격 드론 민군겸용기술개발
항공기 지상점검용 복합장비 전원+냉각 공기 공급 통합 복합장비 개발 민: 민항기 / 군: 전투기·훈련기 민군겸용기술개발
항공정비 XR 실감훈련 플랫폼 정비사고 예방 위한 실감형 교육 시스템 군: 항공정비 교육 민군기술 적용연구
EO/IR 센서 실용화 드론용 전자광학/적외선 센서 및 시선안정화 기술 군: 정찰 드론 민군기술 실용화연계
AI 기반 화학작용제 변색식별 키트 검출소재 기반 식별 패치 + AI분석 기술 군: 화학작용제 감지 민군기술 실용화연계
AI 체계 신뢰성 시험 표준화 AI 신뢰성 관련 시험 기준 및 법제 정비 민·군 AI 제품 전반 민군규격 표준화

우리에게 주는 기회는 무엇일까?

2025년 민군기술협력사업은 단순히 정부가 예산을 집행하는 사업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기회를 줍니다:

  • AI, 드론, 반도체 기술 분야의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국방 과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대학이나 연구소는 군과 연계된 연구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청소년이나 대학생에게는 향후 국방과 기술이 융합된 신산업 취업 기회를 제공합니다.

정부는 매년 2,000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600억 원을 별도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맺음말

2025년 민군기술협력사업은 단순히 군을 위한 기술개발이 아니라, 민간과 함께 성장하고, 산업과 안보를 동시에 지키는 전략입니다. 우리가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드론, 센서, AI 기술도 이 협력 구조 안에서 더욱 발전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이 사업이 만드는 기술의 선순환 구조가 한국의 미래 산업을 이끄는 중요한 축이 될 것입니다.

 

 

 

제1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왜 전자전기·헬기 도입했을까?

제1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무기 도입 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질까?국가 예산이 수조 원 단위로 집행되는 국방 분야에서는 돈이 어디에, 왜 쓰이는지 제대로 심의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걸 결정

dnpq.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