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2월 10일 기준, 한국부동산원 발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하락, 전세가격은 0.01% 하락했습니다. 이번 주 부동산 시장은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앞으로 어떤 흐름이 예상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매매가격 동향
-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하락하며 지난주와 같은 하락폭을 유지했습니다.
- 178개 시군구 중 130개 지역이 하락해, 매도자가 우위인 시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수도권 매매가격 동향
- 서울은 0.02% 상승했으며, 강남(0.05%), 송파(0.14%) 등 인기 지역이 가격을 끌어올렸습니다.
- 경기(-0.05%), 인천(-0.08%)은 입주 물량 증가로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지방 매매가격 동향
- 대구(-0.12%), 세종(-0.12%), 강원 속초(-0.30%) 등 지방 주요 지역도 하락폭이 확대되었습니다.
- 지방 전체적으로는 -0.05% 하락하며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모습입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전세가격 동향
- 전국 전세가격은 0.01% 하락으로 지난주 보합에서 하락으로 전환되었습니다.
- 울산(0.04%), 부산(0.02%) 등은 소폭 상승했지만, 대구(-0.09%), 인천(-0.07%)은 하락폭이 확대됐습니다.
수도권 전세가격 동향
- 서울 전세가격은 0.02% 상승하며 학군지와 역세권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경기는 보합(0.00%)을 유지했고, 인천은 신규 입주물량 영향으로 -0.07% 하락했습니다.
지방 전세가격 동향
- 지방 전세가격도 -0.01% 하락하며 안정세를 보였으나, 제주(-0.05%), 대구(-0.09%) 등은 하락폭이 확대되었습니다.
향후 전망
앞으로도 입주 물량 증가와 금리 변동 등으로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서울 강남·서초 등 인기 지역과 학군지 전세는 꾸준한 수요로 인해 가격이 유지될 전망입니다.
맺음말
이번 주 아파트 가격은 전체적으로 하락세였지만, 지역별 편차가 크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향후 부동산 시장은 금리, 공급량, 정책 등 다양한 변수로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으니 꾸준히 시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코 공매, 871억 압류재산 반값에? 지금 바로 확인! 2025.2.17 (0) | 2025.02.15 |
---|---|
소형모듈원자로(SMR), 전기요금 낮추는 미래 에너지일까? (0) | 2025.02.14 |
암흑물질 첫 포착! 원자력 발전소에서 우주 비밀 해독 (0) | 2025.02.12 |
수출입 2025년 2월 1~10일: 조선업 초호황! 무역적자는 계속? (0) | 2025.02.11 |
서울시 정월대보름, 남산골·석촌호수서 특별 체험!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