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2025년 4월 14일 기준 아파트 가격, 강남보다 뜨거운 지역은?

반응형

2025년 4월 14일 기준 아파트 가격, 숫자보다 중요한 흐름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2025년 4월 14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전세가격은 0.00%로 보합세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 숫자 뒤에는 중요한 흐름이 숨겨져 있습니다. 숫자가 아니라, 흐름을 이해해야 지금 어떤 결정을 해야 할지 감이 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2025년 4월 14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 2025년 4월 14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매매 동향: 강남 상승, 지방은 하락

서울 강남권과 일부 재건축 단지는 매도자 우위 분위기 속에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반면 대구, 광주 등 지방 주요 도시는 입주물량 부담으로 여전히 하락 중입니다.

  • 서울: +0.08%, 반포·대치 등 재건축 기대감 지속
  • 경기: -0.01%, 일부 과천·분당 등은 상승, 평택·김포 등은 하락
  • 지방: -0.04%, 대구·광주·전남 하락세 이어져

서울 안에서도 동네마다 다른 흐름이 관찰됩니다. 예를 들어, 강남구 압구정은 여전히 강세인 반면, 강북구는 하락세를 보이는 단지도 있습니다. 결국 "어느 지역인가", "어떤 단지인가"가 중요합니다.

전세 동향: 서울 전세 매물 부족?

전국적으로 전세가격은 변화가 없었지만, 서울은 오르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역세권 대단지를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꾸준하고, 전세 매물 부족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 서울: +0.02%, 잠원·방배동·염창동 등 상승세
  • 경기: +0.02%, 성남·과천 상승, 이천·평택 등은 하락
  • 지방: -0.01%, 강원·전남 등은 전세 수요 둔화

전세를 고민 중인 사람이라면, 매물 부족한 지역과 입주물량 많은 지역을 구분해서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지금 사야 할까? 관망해야 할까?

현재는 강남권을 중심으로 반등 흐름이 있지만, 지방은 여전히 하락 중입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은 있지만 실현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고, 정부 정책도 대출 규제 완화보다는 신중한 편입니다.

따라서, 무주택 실수요자라면?

  • 급매물 위주의 검색 추천
  • 청약 준비 병행 (청약홈 참고)
  • 하반기 입주물량 지역 집중 체크

보유자라면?

  • 세금·보유부담 확인 후 매도 전략 고민
  • 보합 흐름 지역은 급하게 팔지 않아도 무방

집값 흐름 더 잘 아는 방법: 링크 모음

이제 중요한 건 "뉴스를 모아서 읽는 것"이 아니라, 내 상황에 맞춰 해석하는 것입니다. 이 글이 그 첫걸음이 되길 바랍니다.

▲ 2025년 4월 14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www.r-one.co.kr )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부동산원” 검색 후 설치

 

 

2025년 4월 11일 모아타운 공급, 내 동네도 바뀔까?

2025년 4월 11일 모아타운 공급, 서울 어디가 바뀌나?2025년 4월 11일 서울시는 서울 3곳에서 모아타운 사업이 통합심의를 통과했다고 밝혔습니다.이번에 확정된 공급물량은 총 3,446세대로, 앞으로

dnpq.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