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95) 썸네일형 리스트형 KAI, 1,890억 투자로 ‘한국형기동헬기’ 동력전달장치 국산화 가속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1890억 원 규모의 헬기용 동력전달장치 국산화 사업을 추진한다. 헬기 3대 핵심기술 중 하나인 동력전달장치의 국산화를 통해 국산 헬기의 경쟁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헬기 3대 핵심기술인 동력전달장치 국산화하여 국가 핵심기술로 개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023년 12월 19일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한국형기동헬기(KUH-1) 성능개량형 동력전달장치 개발기술’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계약)금액은 약 1,890억 원이며 개발 기간은 2023년 12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5년이다. 헬기용 동력전달장치는 비행에 요구되는 고출력의 동력을 엔진의 고속회전축에서 주로터 및 꼬리로터로 전달하는 장치로, 자동비행조종장치 및 로터계통과 함께 헬기체계 3대 핵심기술로 분.. 장보고-Ⅲ Batch-Ⅱ 3번함 건조 계약…세계 최정상급 성능으로 무장 방위사업청이 한화오션과 1조천억원 규모의 장보고-Ⅲ Batch-Ⅱ 3번함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최신 기술을 적용한 이 잠수함은 국내 잠수함 기술의 글로벌 선도주자로 떠오르며, 세계 최정상급 성능을 바탕으로 국내 해군의 안보를 강화한다. 장보고-Ⅲ Batch-Ⅱ 3번함, 세계 최정상급 성능으로 안보 지키다 방위사업청은 12월 22일 한화오션과 11,019억원 규모의 장보고-Ⅲ Batch-Ⅱ 3번함 건조 계약을 체결하여 국내 잠수함 기술의 선두주자로서의 역할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계약으로 장보고-Ⅲ Batch-Ⅱ 잠수함 사업은 선도함, 2번함에 이어 3번함까지 순조롭게 진행될 전망이다. 세계 최정상급 성능으로 무장 장보고-Ⅲ Batch-Ⅱ 잠수함은 해군에 인도된 도산안창호함, 안무함보다 크기와 중량.. 국방부, 대적관과 군인정신 강화 ‘정신전력교육 기본교재’ 개편·발간 국방부는 대적관을 강화한 정신전력교육 기본교재를 개편·발간했다고 2023년 12월 27일 밝혔습니다. 대적관 강화로 군사적 대비태세 확립 새롭게 개편한 교재는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 등 대남도발 위협이 고조되는 엄중한 안보상황 속에서 우리 장병들이 맞서 싸워야 할 적을 명확히 인식하고, 지켜낼 조국에 관한 올바른 국가관과 전투현장 중심의 필승의 군인정신을 신념화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개편하였습니다. 특히, 대적관 분야를 대폭 보완하였습니다. 기존 안보관 영역을 ‘대적관’으로 변경하였고, ‘북한 정권과 북한군이 명백한 우리의 적’임을 명기하여 우리 군이 싸워 이겨야 할 적에 대해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6·25전쟁의 발발원인과 책임, 전쟁의 교훈 등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 전력화 완료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에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가 전력화되어, 사수가 차체 내부에서 운용전시기를 통해 무기체계를 원격 조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사수의 생존성이 향상되고, 기동 간 사격도 가능해져 전투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 '움직이며 멀리서 자동으로 쏜다' 방위사업청은 12월 26일(화) 해병대에서 운용하고 있는 상륙돌격장갑차용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를 전력화 완료했다고 밝혔다. 복합화기 원격통제체계 사업은 해병대 상륙작전 및 육상작전 간 기존의 유인 포탑체계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원거리 탐지 및 원격 사격의 자동화로 정밀교전능력과 사수의 생존성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해병대, 신형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 전력화 복합화기란 K6중기관총과 K4고속유탄기관.. 국산 항공엔진 개발 시작, 2030년대 중반 완료 목표 방위사업청은 12월 26일, 첨단 항공엔진 개념연구를 착수한다고 밝혔다. 2030년대 중반까지 국산 전투기에 적용 가능한 15,000 lbf급 터보팬 엔진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국산 항공엔진 개발 시작, 2030년대 중반 완료 목표 첨단항공엔진 기술은 12대 국가전략기술(과기부) 및 10대 국방전략기술(국방부)에 모두 포함될 만큼 경제‧안보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아주 중요한 기술이다. 이번 개념연구는 2030년대 중후반까지 국산전투기에 적용 가능한 15,000 lbf급 터보팬 엔진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막대한 예산과 장기간의 개발 기간이 필요한 만큼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면밀한 사업추진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첨단항공엔진 개발의 필요성 미래 전장이 항공 및 우주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고 .. 이전 1 ··· 67 68 69 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