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는 세금 체납으로 압류된 재산을 공매를 통해 매각하는 절차를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이번 공매는 618억 원 규모로, 토지, 주거용 건물, 상업용 건물, 상표권, 유가증권 등 다양한 자산이 포함됩니다. 저렴한 가격으로 부동산을 매입할 기회지만, 신중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캠코 압류재산 공매 일정
- 입찰 기간: 2025년 2월 24일(월) ~ 2월 26일(수)
- 개찰 결과 발표: 2025년 2월 27일(목)
- 입찰 방법: 온비드(www.onbid.co.kr) 및 스마트온비드 앱 이용
주요 공매 대상
부동산
- 토지 108건 (전체 물건 중 가장 큰 비중 차지)
- 주거용 건물 57건 (서울, 경기 등 수도권 포함)
- 상업용·업무용 건물 59건 (높은 수익성 기대 가능)
- 복합 용도 건물 23건 (주거와 상업용으로 활용 가능)
동산 및 기타 자산
- 자동차, 귀금속, 유가증권
- 출자증권, 상표권 등 특수 자산
특히, 감정가 대비 70% 이하 물건이 232건 포함돼 있어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캠코 압류재산 공매예정물건(2.27개찰).xls
0.08MB
공매 입찰 시 주의사항
- 권리분석 철저: 공매 물건에 대한 소유권, 사용권 등 권리 관계를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미등기 부담 등 숨겨진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공부 열람,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철저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명도책임: 공매 물건에 임차인이 있는 경우 입찰 후에도 임차권을 승인해야 하는 명도책임이 발생할 수 있다. 입찰 전 임차인 존재 유무와 임차계약 내용을 확인하고, 명도책임을 감당할 수 있는지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 입찰 취소 가능성: 세금납부, 송달불능 등의 사유로 공매 직전까지 입찰이 취소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공매 일정을 주의 깊게 확인하고, 입찰 전 해당 물건의 공매 현황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입찰 전 현장 조사: 사진이나 설명만 보고 입찰하기보다는 반드시 현장 조사를 통해 물건의 실제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건물의 경우 구조적 결함, 수리 필요 부분 등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투자 목적과 재정 계획: 공매 물건을 투자 목적으로 구매할 경우 시장 상황, 수익성, 관리비용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투자 계획을 세워야 한다. 또한, 입찰뿐만 아니라 세금, 공과금 등 부가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재정 계획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
- 캠코 압류재산 공매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주의사항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신중하게 검토하고 입찰 전 충분한 준비를 갖추는 것이 성공적인 거래를 위한 첫걸음이다.
한편, 캠코는 국민들의 자유로운 공매정보 활용 및 공공자산 거래 활성화를 위해 압류재산을 비롯한 공공자산 입찰정보를 온비드 홈페이지와 스마트온비드 앱을 통해 개방·공유하고 있다.
* 구글 플레이스토어 및 애플 앱스토어에서 ‘스마트온비드’ 검색 후 다운로드 가능
※ 상기물건은 세금납부,송달불능 및 기타 사유로 인해 취소될 수 있음
※ 공매물건에 대한 권리분석 및 지적부상 하자나 행정상의 규제 또는 품질, 수량 등의 상이에 대하여 입찰자 책임하에 공부열람, 현지답사 등 확인 후 공매에 참가하여야 합니다.
※ 입찰물건목록 및 정보는 온비드( http://www.onbid.co.kr )부동산(동산)→공고→캠코압류재산참고
※ 온비드콜센터:1588-5321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륜차 신호위반: 공익제보단 96만 건 신고, 왜 이렇게 많을까? (0) | 2025.02.22 |
---|---|
캠코 국유부동산 2025년 4회차! 143건 최저가 매각, 기회는 단 3일 (0) | 2025.02.21 |
주간 아파트가격, 송파 0.36%↑ 광양 -0.46%↓ 극과 극! 2025.2.17 기준 (0) | 2025.02.21 |
수출입 2025년 2월 1~20일: 반도체·車 수출 급등세 지속! (0) | 2025.02.21 |
한국인터넷진흥원, 10만 보안 전문가 키운다! 무료 교육 기회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