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주간 아파트가격, 송파 0.36%↑ 광양 -0.46%↓ 극과 극! 2025.2.17 기준

반응형

2025년 2월 17일, 한국부동산원 발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하락하며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줄어들었습니다. 수도권은 -0.01%로 하락폭이 둔화되었으며, 서울은 0.06% 상승하며 강남권과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지방의 경우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반등의 조짐도 보입니다.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보합(0.00%)을 기록하며 수도권(0.01%)은 소폭 상승했습니다. 이런 흐름은 앞으로 어떻게 변할까요? 지금부터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주간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 주간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0.03%)

  • 지난주(-0.04%)보다 하락폭이 줄어듦.
  • 178개 지역 중 상승 지역(45곳)과 보합 지역(10곳)은 증가, 하락 지역(123곳)은 감소.

수도권(-0.01%)

  • 서울(0.06%) 상승폭 확대, 경기(-0.04%) 및 인천(-0.06%) 하락.
  • 강남(0.12%), 송파(0.36%) 상승, 노원(-0.04%), 도봉(-0.04%) 하락.
  • 경기 과천(0.15%), 부천 원미구(0.14%) 상승, 평택(-0.23%), 광명(-0.18%) 하락.

지방(-0.04%)

  • 5대 광역시(-0.06%), 세종(-0.12%), 8개도(-0.03%) 모두 하락세 지속.
  • 대구(-0.09%), 부산(-0.06%) 하락, 전북(0.01%) 상승 전환.
  • 전남(-0.08%), 충남(-0.05%) 하락폭 확대.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0.00%)

  • 지난주(-0.01%)에서 보합 전환.
  • 상승 지역(91곳) 증가, 하락 지역(78곳) 감소.

수도권(0.01%)

  • 서울(0.02%) 상승폭 유지, 인천(-0.04%) 하락, 경기(0.01%) 상승 전환.
  • 강남권(0.04%) 상승 지속, 일부 지역은 하락세 유지.
  • 경기 성남 분당구(0.14%), 부천 원미구(0.13%) 상승, 광명(-0.45%) 하락.

지방(-0.01%)

  • 5대 광역시(0.00%) 보합, 세종(-0.03%) 하락 지속.
  • 대구(-0.08%), 제주(-0.05%), 충남(-0.05%) 하락.
  • 울산(0.05%), 부산(0.03%) 상승.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 전망

  • 금리 변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서, 자금 조달이 쉬운 지역은 상승 가능성이 있음.
  • 서울 강남·수도권: 강남 재건축과 주요 선호 단지는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 지방 시장: 지방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며, 대구·부산 일부 지역은 추가 조정 가능성 있음.
  • 전세 시장: 학군지·역세권 등 인기 지역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 2025년 2월 17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이번 주 부동산 시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하락폭이 줄어들었고, 서울은 강남·송파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전세 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하며 지역별 차별화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금리 정책과 공급 변화에 따라 시장이 어떻게 변화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자신의 투자 또는 거주 계획에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간 아파트가격, 강남 0.05%↑·인천 0.08%↓ 2025.2.10 기준

2025년 2월 10일 기준, 한국부동산원 발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하락, 전세가격은 0.01% 하락했습니다. 이번 주 부동산 시장은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앞으로 어떤 흐름이 예상되는

dnpq.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