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은 2025년 2월 21일, 2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입 현황을 발표했다. 이번 기간 동안 수출은 35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0% 증가하였고, 수입은 345억 달러로 7.7% 증가하여 무역수지는 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2.8억 달러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수출 현황
2025년 2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액은 35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0%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승용차, 자동차 부품, 철강 제품, 선박 등의 품목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주요 품목 수출
다음은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과 증가율이다.
- 반도체: 6,456백만 달러 (22.1% 증가)
- 승용차: 3,607백만 달러 (40.3% 증가)
- 석유제품: 2,621백만 달러 (9.7% 감소)
- 철강제품: 2,489백만 달러 (11.4% 증가)
- 자동차 부품: 1,225백만 달러 (9.1% 증가)
- 선박: 1,048백만 달러 (23.5% 증가)
- 무선통신기기: 840백만 달러 (8.7% 증가)
- 정밀기기: 650백만 달러 (26.8% 증가)
- 컴퓨터주변기기: 585백만 달러 (44.8% 증가)
- 가전제품: 388백만 달러 (15.0% 감소)
주요 국가 수출
수출이 증가한 주요 국가는 중국, 미국, 유럽연합, 베트남 등이며, 홍콩으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 중국: 6,627백만 달러 (13.6% 증가)
- 미국: 6,599백만 달러 (16.0% 증가)
- 유럽연합: 3,513백만 달러 (8.0% 증가)
- 베트남: 3,376백만 달러 (32.7% 증가)
- 대만: 1,594백만 달러 (80.4% 증가)
- 일본: 1,539백만 달러 (0.6% 증가)
- 인도: 1,156백만 달러 (34.0% 증가)
- 홍콩: 1,156백만 달러 (5.7% 감소)
- 싱가포르: 1,007백만 달러 (43.5% 증가)
- 말레이시아: 803백만 달러 (18.8% 증가)
수입 현황
2025년 2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입액은 34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다. 반도체 및 기계류의 수입이 증가한 반면, 원유와 가스 수입은 감소했다.
주요 품목 수입
다음은 주요 품목별 수입 실적과 증가율이다.
- 원유: 4,367백만 달러 (8.0% 감소)
- 반도체: 4,326백만 달러 (16.9% 증가)
- 기계류: 1,722백만 달러 (19.9% 증가)
- 반도체 제조장비: 1,544백만 달러 (26.3% 증가)
- 가스: 1,454백만 달러 (16.4% 감소)
- 석유제품: 1,249백만 달러 (1.7% 증가)
- 정밀기기: 977백만 달러 (18.8% 증가)
- 석탄: 704백만 달러 (18.5% 감소)
- 승용차: 469백만 달러 (22.7% 감소)
- 무선통신기기: 369백만 달러 (3.3% 증가)
주요 국가 수입
수입이 증가한 주요 국가는 미국, 유럽연합, 일본, 대만이며,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감소했다.
- 중국: 6,542백만 달러 (1.7% 감소)
- 미국: 4,296백만 달러 (13.8% 증가)
- 유럽연합: 3,759백만 달러 (17.7% 증가)
- 일본: 3,109백만 달러 (22.7% 증가)
- 대만: 1,791백만 달러 (21.5% 증가)
- 호주: 1,629백만 달러 (20.2% 증가)
- 사우디아라비아: 1,599백만 달러 (15.6% 증가)
- 베트남: 1,596백만 달러 (5.2% 증가)
- 말레이시아: 911백만 달러 (29.9% 증가)
- 러시아: 342백만 달러 (10.6% 감소)
향후 전망
이번 수출입 현황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흑자로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와 자동차 관련 산업이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미국, 유럽연합, 베트남 등으로의 수출 증가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다만, 원유 및 가스 수입 감소는 에너지 시장의 변동성을 반영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향후 국제 에너지 가격 변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반도체와 자동차 시장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경우, 수출 증가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지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도 고려해야 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코 공매, 618억 압류재산 70% 할인! 기회 잡아라 (2025.2.24) (0) | 2025.02.21 |
---|---|
주간 아파트가격, 송파 0.36%↑ 광양 -0.46%↓ 극과 극! 2025.2.17 기준 (0) | 2025.02.21 |
한국인터넷진흥원, 10만 보안 전문가 키운다! 무료 교육 기회 (0) | 2025.02.20 |
전국 주택가격 2025년 1월: 송파·서초↑, 인천·대구↓! 지금이 기회일까? (0) | 2025.02.18 |
소비자상담 2025년 1월: 환불 거부·사기 급증! 당신도 당했다?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