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서는 '9·19 군사합의'의 전부 효력정지와 관련된 국방부의 입장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9·19 군사합의는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목적으로 체결된 중요한 협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북한의 반복적인 합의 위반과 도발로 인해, 우리 정부는 더 이상 이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따라 '9·19 군사합의'의 전부 효력정지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9·19 군사합의의 배경과 목적
9·19 군사합의는 2018년 9월 19일 남북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협정으로,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 합의는 군사분계선 일대에서의 적대 행위 중단과 군사적 충돌 방지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로 인해 이 합의의 효력정지가 불가피해졌습니다.
북한의 합의 위반 사례
합의 체결 이후 북한은 해안포 사격, NLL 이남으로의 미사일 발사, GP 총격 도발, 소형 무인기 침투 등 반복적으로 합의를 위반해왔습니다. 특히 지난해 11월, 북한은 '9·19 군사합의'의 사실상 전면 파기를 선언하며 도발을 계속했습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위반 행위는 남북 간 긴장을 고조시키고 신뢰를 훼손했습니다.
최근 북한의 도발 행위
지난 5월 27일,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이후 GPS 교란, 미사일 발사, 대규모 오물 풍선 살포 등 추가적인 도발이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우리 국민의 안전을 중대하게 위협하며,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더 이상 '9·19 군사합의'를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정부의 효력정지 결정 이유
정부는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9·19 군사합의'의 전부 효력정지를 결정했습니다. 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군사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번 결정은 군사분계선, 서북도서 일대에서 우리 군의 모든 군사활동을 정상적으로 복원하는 의미를 지닙니다.
효력정지의 의미와 군사활동 복원
'9·19 군사합의'의 효력정지는 그동안 제약받았던 군사활동을 정상적으로 복원하는 것입니다. 우리 군은 앞으로 북한의 도발에 대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모든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것입니다. 이러한 조치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이루어질 것입니다.
맺음말
북한의 반복적인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9·19 군사합의의 전부 효력정지를 결정했습니다. 이 조치는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입니다. 앞으로도 정부는 북한의 도발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며,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셰르파, AI 자율주행 기술 적용된 현대로템 4세대 무인차량 공개 (0) | 2024.06.19 |
---|---|
한반도 해안 감시, 고성능 해안감시레이다-II로 24시간 365일 철통 보호 (0) | 2024.06.10 |
방추위, L-SAM II와 M-SAM Block-III, 화생방보호의 II 사업 의결 (0) | 2024.05.29 |
2024년 방산 수출 200억불 목표, 천무·FA-50·K-9 해외 시장을 사로잡다 (0) | 2024.05.13 |
제161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4월 26일 개최, 주요 사업 추진 결정 (0) |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