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방부는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인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전투장비 부품을 자체 제작함으로써 전투장비 가동률을 향상시키고, 국방예산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총 37,179점의 부품을 제작하여 약 16억원의 예산을 절약했습니다.
3D프린팅 기술 확대 적용
3D프린팅 기술은 전투장비 부품의 자체 제작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다줍니다.
- 전투장비 가동률 향상: 단종, 조달이 제한되는 부품을 자체 제작하여 장비 가동률을 높이고 정비 지연을 최소화
- 국방예산 절감: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부품을 자체 제작하면 실제 조달 단가 대비 약 50%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군수지원 효율성 증대: 야전 정비부대까지 3D프린터를 확대 보급하여 전장 상황에 맞는 신속한 정비 지원 가능
- 기술력 향상 및 인프라 확보: 3D프린팅 기술 개발 및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국방 분야 3D프린팅 기술 경쟁력 강화
국방부, 3D프린팅 기술 인프라 확보 및 전문 인력 양성에 적극 투자
국방부는 3D프린팅 기술 확대 적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1. 기술력 향상 및 인프라 확보
- 3D프린팅 기술 개발: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3D프린팅 기술 개발 및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금속 부품 제조 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함께 해병대 KAVV 등 39종의 금속 부품 제조 기술 개발을 완료했습니다.
- 고성능 소재 개발: 3D 프린팅용 고성능 소재 개발 연구를 지원하여 부품 성능 향상과 안정성 확보를 추진합니다.
- 전문 인력 양성: 국방분야 3D프린팅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3년까지 총 169명의 전문가를 양성했습니다.
- 산학연 협력 강화: 3D프린팅 기술 관련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여 기술 개발 및 연구를 활성화합니다.
2. 인프라 확보 및 확대 적용
- 3D 프린터 확대 배치: 각 군 정비창 및 군수지원여단급 정비부대까지 3D 프린터를 확대 배치하여 총 29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야전 정비 환경 개선: 야전 정비부대까지 3D 프린터를 보급하여 야전 현장에서도 전투장비 부품을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구축: 3D 프린팅용 부품 설계 도면 및 제작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부품 생산 효율성을 높입니다.
- 소프트웨어 개발: 3D 프린팅용 설계 및 제작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여 부품 생산 과정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합니다.
3. 활용 분야 확대
- 전투장비 부품: 다양한 전투장비 부품을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하여 부품 조달 시간 단축, 비용 절감, 전력화율 향상을 도모합니다.
- 개인화된 군수품: 군인의 체형 및 임무에 맞춘 개인화된 군수품 제작을 통해 군인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킵니다.
- 무인기 및 로봇: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무인기 및 로봇의 부품 및 플랫폼 제작하여 군의 무인화 전략을 추진합니다.
- 훈련 및 시뮬레이션: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환경과 유사한 훈련 환경 및 시뮬레이션을 제작하여 훈련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의료 분야: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용 임플란트, 의료 모형 등을 제작하여 군 의료 분야 발전에 기여합니다.
4. 국제 협력
- 미국, 독일 등 해외 주요 국가와 3D프린팅 기술 관련 협력 사업 추진: 기술 교류 및 공동 연구를 통해 국방 분야 3D프린팅 기술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 국제 3D프린팅 기술 표준화에 참여: 국제 표준화에 참여하여 국방 분야 3D프린팅 기술의 국제적 인정을 확대합니다.
3D프린팅 기술은 국방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전투장비 부품 제작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도 적극 활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개인화된 군수품 제작: 군인의 체형 및 임무에 맞춘 개인화된 군수품 제작
- 무인기 및 로봇 개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무인기 및 로봇의 부품 및 플랫폼 제작
- 훈련 및 시뮬레이션: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환경과 유사한 훈련 환경 및 시뮬레이션 제작
3D프린팅 기술은 군의 전투력 강화와 국방예산 효율적 사용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방부는 3D프린팅 기술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여 국방 분야 3D프린팅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국방력 강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출처 : 국방부
중고도정찰용무인항공기(MUAV) 양산사업 착수...방산수출 기대
방위사업청은 국내 최초의 전략급 무인항공기인 중고도정찰용무인항공기(MUAV) 양산사업에 착수하여 국방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래 방산수출에 기여하는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었다. 이 사업은
dnpq.tistory.com
반응형
'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TC 중앙회와 국방부, 학군장교 지원율 제고를 위한 협력 모색 (0) | 2024.02.06 |
---|---|
군의료지원체계 개선, 민간병원 직접청구·다자녀 진료비 면제 등 (0) | 2024.02.03 |
함탑재정찰용 무인항공기 체계개발 사업 착수…2028년 전력화 (0) | 2024.01.30 |
백종원 대표와 국방부, 군 급식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0) | 2024.01.27 |
논산 국방국가산업단지 계획 승인… 2029년 준공 목표 (0) | 2024.01.27 |